마케팅연구소, 소마코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마케팅연구소, 소마코

메뉴 리스트

  • Homepage
  • Portfolio
  • 회사 소개서
  • Contact
  • Category (1619) N
    • 마케팅 인사이트 (1447) N
      • AI (30) N
      • 콘텐츠 (311)
      • 캠페인 (231)
      • 브랜딩 (292)
      • 그로스 (16)
      • 바이럴 (67)
      • APP (74)
    • 소마코 오리지널 (158)
      • 시리즈 (138)
      • 인터뷰 (1)
      • 트렌드 리포트 (2)

검색 레이어

마케팅연구소, 소마코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마케팅 인사이트/브랜딩

  • 글로벌 MZ세대까지 잡기 위해 움직이는 올리브영

    2024.09.19 by J_JG

  • 파격적인 혜택으로 중소 브랜드의 등용문이 된 '올영세일'

    2024.09.03 by J_JG

  • 레고(LEGO)의 팬덤 마케팅 전략

    2024.08.30 by J_JG

  • 병원 화장품 1위 '제로이드', 드디어 올리브영 입점!

    2024.08.28 by J_JG

  •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벚꽃엔딩으로 보는 '리텐션 마케팅'

    2024.08.23 by J_JG

  • “걸리기만 해봐” 무신사가 성장 초기 브랜드에 집착하는 이유

    2024.08.14 by J_JG

  • 브랜드몰 성공 법칙, 숏폼 커머스 (2024.ver)

    2024.08.14 by J_JG

  • 마니아층을 공략한 왓챠, 드디어 흑자 전환 성공했다

    2024.07.29 by J_JG

글로벌 MZ세대까지 잡기 위해 움직이는 올리브영

최근 올리브영이 성수역 역명을 10억 원에 낙찰받아 화제가 됐었죠. 오는 10월부터 성수역은 앞으로 3년 간 '성수(CJ올리브영) 역'으로 불릴 예정이라고 해요. MZ세대 유동인구가 특히나 많은 성수역의 역명을 사들인 것은 올리브영의 공격적인 행보와 맞닿아있었어요. 본문을 통해 자세히 알아볼게요! 🤔 왜 하필 성수역일까요? 성수동은 최근 젊은 외국인 관광객들 사이에서도 핫플레이스로 떠오르고 있어요. 인스타그램에서 해시태그 '#성수동'을 검색하면 무려 200만 개 이상의 게시물이 나올 정도죠. 이는 단순한 광고 효과를 넘어서는 전략적 움직임이에요. 지하철역 이름은 그 지역의 랜드마크가 되죠. '성수(CJ올리브영) 역'이라는 이름은 성수동을 찾는 모든 사람들에게 자연스럽게 올리브영을 각인시키는 효과를 낼 거..

마케팅 인사이트/브랜딩 2024. 9. 19. 09:30

파격적인 혜택으로 중소 브랜드의 등용문이 된 '올영세일'

3, 6, 9, 12! 많은 뷰티 팬이 기다리는 올리브영의 정기 세일, ‘올영세일’이 돌아왔습니다! 국내 최대 규모의 뷰티 할인 행사가 된 올영세일은 이제 단순히 할인 혜택을 넘어서, 중소기업의 브랜드 성장을 돕는 기회가 됐어요. 8월 30일 9월 5일까지 전국 모든 올리브영 매장에서 총 900여 개의 브랜드, 1만 4,000여 개의 상품을 최대 70%까지 할인한다고 해요. 특히 이번 9월 올영세일은 이전보다 더 많은 브랜드를 만나볼 수 있다고 합니다. 본문을 통해 올영세일의 흥행 비결을 자세히 알아볼게요!  1️⃣ 올리브영, 온오프라인의 경계를 허물다올영세일이 뷰티 브랜드의 등용문이 된 이유는 큰 규모뿐만 아니라, 편의성까지 갖추었기 때문인데요. 전국 1,300여 개의 오프라인 점포가 있는 올리브영은 ..

마케팅 인사이트/브랜딩 2024. 9. 3. 09:31

레고(LEGO)의 팬덤 마케팅 전략

해리포터(Harry Potter), 스타워즈(Star Wars) 등 다양한 IP와 활발히 협업을 진행하는 기업이 있다.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완구 회사인 ‘레고(LEGO)’다. 레고는 자사의 제품에 유명 IP의 캐릭터, 건물 등 다양한 콘텐츠를 녹여내 해당 IP의 팬덤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좋은 반응을 얻어내고 있다. “단순히 조립하기 재밌고 완성했을 때 멋있는 레고 제품을 만들기만 하면 그만 아닌가?”라고 간단히 생각할 수 있지만, 기존 레고 팬은 물론 협업한 IP의 두터운 팬덤까지 한번에 사로잡는 건 그리 간단한 일이 아니다. 특히 팬덤의 경우 제품의 인기를 견인할 두터운 조력자가 될 수 있는 동시에 자칫 가장 냉정하고 비판적인 비평가가 될 수 있다는 위험을 안고 있는 만큼, 팬덤을 효과적으로 사로잡..

마케팅 인사이트/브랜딩 2024. 8. 30. 09:30

병원 화장품 1위 '제로이드', 드디어 올리브영 입점!

어느덧 글로벌 스토어로 자리 잡은 올리브영은 해외 관광객들에게 한국 방문 시 필수로 들러야 할 장소로 인식되며 K-뷰티의 성지로 여겨지고 있어요. 특히 해외에서는 우리나라의 스킨케어 제품 및 루틴에 대한 관심도가 가장 높은데, 이는 웰니스(Wellness) 트렌드가 라이프스타일로 자리잡으며 스킨케어 또한 미용의 목적을 넘어서 자기 관리와 건강의 영역으로 받아들여지고 있기 때문이에요.또한 요즘 Z세대 사이에서 '예방적 젊음(Prejuvenation)'이라는 개념이 생겨나며 기존 세대보다 더 빨리 뷰티 및 웰니스 제품을 사용하기 시작했다는 점도 주목해볼만한 흥미로운  포인트에요. 올리브영은 이러한 트렌드를 놓치지 않고 변화하는 소비자들의 수요에 맞춰 적극적으로 새로운 제품군을 선보이며 웰니스 시장 공략에 나..

마케팅 인사이트/브랜딩 2024. 8. 28. 08:30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벚꽃엔딩으로 보는 '리텐션 마케팅'

1️⃣ 돌고 도는 유행의 리텐션유행은 돌고 돈다는 말이 있죠. 특히 마케팅은 이 유행, 사람들이 매력을 느끼는 요소에 큰 영향을 받는 분야입니다. 마케팅 트렌드로 부상한 팝업스토어는 소비자에게 직접적인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인지도와 매력을 높입니다. 숏폼 챌린지는 그야말로 '유행'과 맞닿아 있습니다. 팝업스토어와 챌린지뿐일까요?  태국의 TV 광고는 기상천외하고 재미있어서 유튜브 알고리즘을 타고 널리 퍼집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돌고래유괴단'이라는 광고 제작사가 특유의 아이디어와 도전정신으로 밈적인 광고를 창작하기도 했죠. 식품회사 빙그레는 '빙그레우스'라는 캐릭터를 창작해 오래된 브랜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도 했습니다. 삼성은 매년 갤럭시 언팩 행사를 위해 제일기획과 같은 광고/마케팅 종합대행사에 큰 ..

마케팅 인사이트/브랜딩 2024. 8. 23. 09:30

“걸리기만 해봐” 무신사가 성장 초기 브랜드에 집착하는 이유

빠르게 변화하는 패션 산업 속에서 독창적이고 개성 넘치는 성장 초기 국내 디자이너 브랜드들이 주목받고 있어요. 그리고 그 중심에는 항상 무신사가 있습니다. 2년 연속 무신사 연간 거래액 100억을 넘어선 쿠어부터 글로벌 시장 거래액이 무려 6배 증가한 스탠드오일까지, 최근 무신사에서 남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는 브랜드 성공 사례 4가지를 소개할게요. 빠르고 단단하게 성장한 4개 브랜드들의 공통점을 발견해 보세요! 1️⃣ 무신사와 함께 성장한 라이징 브랜드올해 2월, 1,000억 매출의 마뗑킴을 만든 김다인 대표는 새로운 브랜드 '다이닛'을 선보였어요. 다이닛은 무신사 스토어 입점 첫날에만 억대 매출을 달성하며 우먼 랭킹 1위를 차지했고, '리본 플랫 슈즈'와 '클라우드 미니백'은 출시 직후 1분 만에 전량..

마케팅 인사이트/브랜딩 2024. 8. 14. 08:50

브랜드몰 성공 법칙, 숏폼 커머스 (2024.ver)

인스타그램 '릴스', 유튜브 '숏츠', 틱톡부터 네이버 '클립', 카카오톡 '펑', 당근의 '당근 스토리'까지, 2024년 미디어 트렌드의 중심에는 숏폼이 있습니다.  인크루트가 직장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사람들이 숏폼을 시청하는 이유로 '짧은 시간에 많은 콘텐츠를 볼 수 있어서(45.1%)'가 1위로 나타났고, '별다른 이유는 없고 습관적으로 본다(32.3%)'가 그 뒤를 이었어요.  또, 와이즈랩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사람들은 넷플릭스나 티빙 같은 OTT 플랫폼보다 유튜브나 인스타그램 같은 숏폼 플랫폼을 5배 이상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밝혀졌어요.   한국리서치 정기조사에 따르면, 숏폼 콘텐츠를 시청하는 사람이 전체 국민의 국민 4명 중 3명(75%)에 이르며, 60세 이상의 고령층에서도 59..

마케팅 인사이트/브랜딩 2024. 8. 14. 08:30

마니아층을 공략한 왓챠, 드디어 흑자 전환 성공했다

넷플릭스부터 디즈니플러스, 쿠팡 플레이, 티빙, 웨이브, 왓챠까지 국내외 OTT 산업의 확장에 따라 공중파 방송은 물론 영화관까지 위협을 받고 있는 지금, OTT 서비스의 경쟁도 매우 치열합니다. 시청자들을 포섭하기 위해 각 OTT는 비슷한 듯 서로 다른 전략을 펼치고 있어요.OTT 서비스의 대표주자인 넷플릭스는 드라마와 영화를 중심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며, 자체 콘텐츠인 오리지널 콘텐츠에도 공을 들이고 있어요. 국내 토종 OTT인 티빙과 쿠팡 플레이는 이에 대항하기 위해 스포츠 콘텐츠로 영역을 확장했죠. 티빙은 KBO 독점 중계권을, 쿠팡플레이는 해외 축구부터 골프 등 다양한 스포츠 방송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인지, 최근 국내 OTT가 업계 1위 넷플릭스와 간격을 좁혀가기 시작했어요. 올해부터 넷..

마케팅 인사이트/브랜딩 2024. 7. 29. 10:3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3 4 5 6 7 8 9 ··· 37
다음
TISTORY
마케팅연구소, 소마코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