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연구소, 소마코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마케팅연구소, 소마코

메뉴 리스트

  • Homepage
  • Portfolio
  • 회사 소개서
  • Contact
  • Category (1623)
    • 마케팅 인사이트 (1450)
      • AI (30)
      • 콘텐츠 (311)
      • 캠페인 (233)
      • 브랜딩 (293)
      • 그로스 (16)
      • 바이럴 (67)
      • APP (74)
    • 소마코 오리지널 (159)
      • 시리즈 (139)
      • 인터뷰 (1)
      • 트렌드 리포트 (2)

검색 레이어

마케팅연구소, 소마코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Category

  • 구글과 메타, ‘눈’ 위에서 벌어지는 차세대 전쟁

    2025.07.17 by 짱수안

  • 위로 받을 땐 언제고, 이제는 까달라고? 놀이가 된 AI Roast

    2025.07.16 by 짱수안

  • 햄버거가 여행을 마케팅 한다면? (올여름 버거는 NBB어때?)

    2025.07.16 by 짱수안

  • 다가올 GEO 시대, 마케터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2025.07.15 by 짱수안

  • 컴백 기념으로 추억을 말아주는 아이돌이 있다? (부제 : NCT DREAM의 시간여행)

    2025.07.15 by 짱수안

  • 스케일이 다른 공룡이 온다!🦖 영화 <쥬라기월드> 국내 주요 프로모션 모음

    2025.07.14 by 짱수안

  • [뉴스콕] 축제 넘어 브랜드로… ‘워터밤’이 만든 여름 공식

    2025.07.14 by 짱수안

  • 이 광고 봤어? 대기업도 쓰기 시작한 생성형 AI 광고

    2025.07.10 by 짱수안

구글과 메타, ‘눈’ 위에서 벌어지는 차세대 전쟁

2025년 여름, 패션과 기술이 손을 맞잡았다. 불과 몇 달 전 구글이 젠틀몬스터의 모회사 아이아이컴바인드를 통해 스마트글라스 시장에 깃발을 꽂았다면, 이번에는 메타가 에실로룩소티카(EssilorLuxottica)의 지분 약 3%를 인수하며 ‘시선 플랫폼’을 선점하려는 행보에 나섰다.두 사건 모두 하나의 키워드로 귀결된다. Wearable isn't about devices anymore. It's about context.웨어러블의 핵심은 더 이상 기기가 아니다. 맥락(상황)이다. 1️⃣안경이 아니라 인터페이스다 과거의 웨어러블 기기는 손목에서 시작됐고, 주머니에서 스마트폰을 대체하려 했다.하지만 이제는 얼굴, 그중에서도 ‘눈’이라는 신체 감각의 중심이 새로운 전장이 되고 있다.구글 X 젠틀몬스터는..

마케팅 인사이트/AI 2025. 7. 17. 14:00

위로 받을 땐 언제고, 이제는 까달라고? 놀이가 된 AI Roast

브랜드 스스로가 겁내는 질문, 요즘엔 바이럴 포인트다 2025년 7월, SNS와 커뮤니티에서 묘한 요청이 퍼지고 있다. "나를 까줘.""너만은 솔직하게 말해줘.""내 브랜드 좀 디스해봐." 대상은 연예인도, 친구도 아닌 AI 모델이다.ChatGPT를 비롯한 생성형 AI에게 ‘나를 로스트(roast, 팩폭)’ 해달라는 요청이 일종의 놀이처럼 번지고 있는 것. 'based on everything you know about me roast me and don't hold back in korean' 이 프롬프트를 복사해 지금 쓰고 있는 AI 툴에게 입력하면, AI는 곧 상상 이상으로 정곡을 찌를 것이다. 빈 창에 입력하면 일반적인 글이 나오지만,이미 활동했던 방에다 명령어를 주면 갑자기 나를 막 후..

마케팅 인사이트/AI 2025. 7. 16. 14:00

햄버거가 여행을 마케팅 한다면? (올여름 버거는 NBB어때?)

맛있는 이국적인 요리를 먹으면서 '아, 이 맛의 본고장에 가보고 싶다'는 생각, 해보신 적 있나요? 최근 여기어때와 노브랜드 버거(NBB)가 바로 이 지점에 주목했습니다. '올여름 버거는 NBB 어때?'라는 위트 있는 이름으로 시작된 이들의 콜라보레이션은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를 읽고, 타겟 고객을 설계해 서로의 비즈니스 목표를 달성하려는 전략이 숨어 있습니다. 음식으로 여행을 영업한다는 발상, 과연 이 두기업은 어떤 전략을 세웠을까요?1️⃣여름휴가 시즌을 겨냥한 이벤트 설계이 캠페인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바로 '시기' 선택입니다. 소비자들이 여름휴가를 위해 항공권, 숙소 등 여행 상품을 적극적으로 탐색하는 시점은 여행 플랫폼에게 가장 중요한 마케팅 골든타임입니다. '올여름 버거는 NBB어때?' 이벤트는 ..

마케팅 인사이트/캠페인 2025. 7. 16. 08:00

다가올 GEO 시대, 마케터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어센트 코리아 ‘7월 리마 딥다이브 클럽’에서 공유된 GEO 통합 전략 톺아보기 지난 3일,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검색 엔진 최적화)’를 넘어 새롭게 등장한 ‘GEO(Generative Engine Optimization, 생성형 엔진 최적화)’의 길라잡이가 된 행사가 열렸다. 마케팅 테크 기업 ‘어센트 코리아’는 정기적으로 온·오프라인 세미나로 기업 실무자의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있다. 최근 진행된 ‘7월 리마 딥다이브 클럽’ 또한 정기적 세미나의 일환으로, 이번 행사에서는 ‘생성형 AI 시대의 SEO와 GEO 통합 전략’을 주제로 박세용 어센트 코리아 대표의 강연과 함께 자사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 ‘리스닝마인드 허블’을 보..

마케팅 인사이트/그로스 2025. 7. 15. 14:00

컴백 기념으로 추억을 말아주는 아이돌이 있다? (부제 : NCT DREAM의 시간여행)

에디터는 소마코 독자분들께 신선한 인사이트를 전하기 위해 다양한 도메인의 레퍼런스를 수집하고, 각종 이슈를 캐치하려 꾸준히 노력하고 있어요. 그중에서도 특히 K-POP, 대중문화, 콘텐츠 등 엔터 분야를 디깅하는 걸 좋아합니다. 그 이유는 독특한 구조 때문인데요~ 일반 상품군은 ‘판매자-구매자’ 관계이지만, 엔터계는 ‘판매-구매’를 넘어 ‘아티스트와 팬덤’이라는 이중 구조의 특수 관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특히 팬심을 기반으로 한 상품과 액티비티가 포인트이죠~ 그래서 이번 아티클에서는 9년간의 추억을 담은 NCT DREAM(엔시티 드림)의 ‘Go Back To The Future’ 컴백 프로모션을 준비해 보았습니다. SNS, 인스타그램 공지 채널, 유튜브, 전국에서 진행하는 전시회까지! 소중한 순간으로 ..

마케팅 인사이트/캠페인 2025. 7. 15. 08:00

스케일이 다른 공룡이 온다!🦖 영화 <쥬라기월드> 국내 주요 프로모션 모음

공룡이 돌아왔습니다. 이 박스오피스 1위를 달리고 있거든요. 3년 만에 다시 깨어난 공룡의 세계! 어린아이들은 물론 어른들까지 다양한 관객들을 극장으로 불러들이고 있어요. 특히나 이번 는 글로벌 블록버스터 영화답게 개봉 전 프로모션부터 기대감을 한껏 끌어올렸습니다. 공룡 세계관을 현실로 끌어온 영화 마케팅의 사례를 같이 알아볼까요? 1️⃣ K-공룡이 스칼렛 요한슨을 이겼다고? 7월 1일 영등포 타임스퀘어 레드카펫. 스칼렛 요한슨의 8년 만의 내한이 화제였지만, 정작 더 큰 관심을 받은 건 따로 있었어요. 바로 K-공룡들이죠. 뽀로로의 크롱, 지락실(뿅뿅 지구오락실)의 철용이, NC 다이노스의 마스코트인 단디와 쎄리까지. 한국을 대표하는 공룡 캐릭터들이 총출동했거든요. "철용이가 왜 여기서 나와?", “..

마케팅 인사이트/캠페인 2025. 7. 14. 14:58

[뉴스콕] 축제 넘어 브랜드로… ‘워터밤’이 만든 여름 공식

7월 셋째 주, 마케터라면 꼭 알아야 할 뉴스를 콕 찍어 전달합니다!📌📰 누구나 광고하는 시대… 개인도 포털에 광고한다, 네이트 ‘오늘’ 출시📰 축제 넘어 브랜드로… ‘워터밤’이 만든 여름 공식📰 ‘민생회복 소비쿠폰’ 어디서 어떻게 쓰는지 미리 점검하기📰 역대급 폭염·물가 이중고… 휴가철 장바구니 가벼워질까📰 트럼프, 한국에 25% 관세 공식 서한… 8월 1일부터? 1️⃣ 누구나 광고하는 시대… 개인도 포털에 광고한다, 네이트 ‘오늘’ 출시SK커뮤니케이션즈가 ‘네이트’ 메인에 개인도 광고를 걸 수 있도록 서비스를 론칭했습니다. 이 서비스의 이름은 '네이트 오늘'로, 기존 기업 중심의 디지털 광고 시장과 달리, 일반 개인이나 소규모 창작자도 자신의 콘텐츠나 상품을 손쉽게 포털 메인 화면에 노..

소마코 오리지널 2025. 7. 14. 08:00

이 광고 봤어? 대기업도 쓰기 시작한 생성형 AI 광고

생성형 AI 크리에이터와 함께 만든 광고, 대기업이 선택한 새로운 협업 방식 "이 광고 봤어?" 이제는 SNS나 유튜브에서 생성형 AI로 만든 광고를 보는 것이 낯설지 않습니다. 특히 대기업들도 AI를 활용한 광고 제작에 적극적으로 합류하고 있는데요. 흥미로운 점은, 브랜드가 직접 AI 광고를 만드는 대신 이미 팬덤을 가진 AI 캐릭터(크리에이터)와 협업하는 방식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겁니다. 사실 생성형 AI 기술이 발전하면서 누구나 쉽게 광고 소재를 만들 수 있게 되었습니다. 대기업은 내부에서 직접 생성형 AI를 활용해 광고를 만들 수도 있을 텐데요. 그보다는 AI 크리에이터들과 협업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는 점이 흥미롭습니다.그렇다면 왜 직접 만들지 않고 크리에이터와 콜라보를 할까요? 이는 단순히 ..

마케팅 인사이트/AI 2025. 7. 10. 08:0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7 ··· 203
다음
TISTORY
마케팅연구소, 소마코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