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새 연애 프로그램을 안 보던 제 주변 사람들까지 홀려버린 연애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사실 '환승연애', '나는 솔로'의 메가 히트 이후, 연애프로그램 (이하 연프)의 포맷은 이제 쓸 카드를 다 쓴 것 같아 보였는데요. 오죽하면 무속인, 남매, 게이, 레즈 연프까지 생겨났으니까요. 그런데 넷플릭스에 의외의 복병이 등장했습니다. 저를 포함해 제 주변 '머글'들 마저 사로잡은 이 방송, 바로 '모태솔로지만 연애는 하고 싶어'(이하 모솔연애)입니다.
'모태솔로'라는, 어쩌면 연애 시장의 '비주류'를 전면에 내세운 이 프로그램은 어떻게 시청자들의 '과몰입'을 유발하며 화제의 중심에 섰을까요? 여기에는 레드오션을 블루오션으로 바꾸는 기획의 힘이 숨어있습니다. '모솔연애'의 성공 전략을 통해, 모든 마케터가 자신의 브랜드에 적용할 수 있는 단계별 포인트를 파헤쳐 보겠습니다.
모든 연애 예능이 '매력적인 남녀'를 주인공으로 내세울 때, '모솔연애'는 역발상을 택했습니다. '연애 경험이 전무한 사람'이라는 명확한 틈새시장(Niche Market)을 공략한 것입니다. 이는 단순히 출연자 풀을 바꾼 것을 넘어, 프로그램의 게임 룰 자체를 바꾼 영리한 한 수입니다.
기존 연애 예능의 시청 포인트가 '저렇게 멋진 사람들은 어떻게 사랑을 할까?'라는 '동경'에 맞춰져 있었다면, '모솔연애'는 '사랑이 처음인 사람들의 서툰 모습'을 통해 '공감'의 문을 열었습니다. '모솔연애'는 '누구나 한 번쯤 겪었을 첫사랑의 서투름'이라는 보편적 감성을 건드리며, 기존 연애 예능에 흥미를 잃었거나 애초에 흥미를 못 느꼈던 시청자들까지 끌어안는 데 성공했습니다.
재윤이 여명을 피해 갈대밭에 숨는 장면 보셨나요? 상호가 아무에게도 선택받지 못한 후 한상차림을 마음 놓고 먹던 장면은요? 저는 롤러장 씬이 최고인 줄로만 알았는데요. 두 장면 모두 감히 올해 최고의 컷으로 꼽고 싶습니다. Z세대는 잘 짜인 각본보다 예측 불가능한 '날것'의 이야기에 열광합니다. '모솔연애'의 출연자들은 이성과의 대화에 진땀을 흘리고 감정 표현에 서툰 모습을 보입니다. 바로 이 '서툼'과 '결핍'이 '모솔연애'의 가장 강력한 무기입니다.
누구나 처음은 서툴고 어렵기 마련이에요. 시청자들은 필터링 없이 드러나는 이들의 행동과 감정을 보며 '나도 저런 때가 있었지'라며 자신의 과거를 투영합니다. 어쩌면 잊고 살았던, 잊고 싶었던 나의 흑역사까지도 떠올리게 하죠. 그러면서 주인공의 감정에 깊이 이입하는 '찐 공감'을 경험합니다. '모솔연애'는 완벽하지 않은 사람들의 진짜 이야기를 통해, 시청자들이 단순한 관찰자를 넘어 함께 울고 웃는 '감정 공동체'가 되게 만듭니다.
모쏠연프를 본 거의 모두가 이렇게 말합니다. 이건 그냥 연프가 아니라 '성장다큐'라고요. '모솔연애'가 다른 프로그램과 갖는 가장 큰 차별점은 바로 '성장 서사'의 존재입니다. "모쏠은 모쏠인 이유가 있다? 그렇다면 최소한 연애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주자!"는 제작진의 기획 의도는 명확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단순히 남녀를 한 공간에 모아두는 것을 넘어, '썸 메이커'라는 조력자 패널을 통해 적극적으로 개입합니다.
패널들은 촬영 전 출연자들과 직접 만나 조언을 건네고, 스타일 변신을 위한 메이크오버에도 함께하죠. (이는 과거 예능이었던 '렛미인'이 보여준 극적인 변신과 성장의 궤를 같이하는 듯 보입니다.) 또 내면의 상처를 치유하기 위한 심리 상담까지 지원합니다.
또한 '모쏠'이라는 비슷한 처지에 놓인 사람들'만' 모인 사회에서 합숙하며 각자가 보여주는 사회성이나 이성을 향한 공략, 인간적인 관계도 회를 거듭할수록 변화합니다. 이러한 양상은 시청자들에게 단순한 연애 리얼리티 이상의 '성장 다큐멘터리'를 보는 듯한 재미를 선사합니다. Z세대가 끊임없이 자신을 발전시키는 인물에게 '추구미(추구하는 아름다움)'를 느끼듯, 시청자들은 출연자들이 연애 스킬뿐만 아니라 인간적으로도 성장해 나가는 모습을 보며 강한 응원과 지지를 보내게 됩니다. 물론... 그럼에도 의아한 행동을 하는 출연자들을 보며 스튜디오에서 독설을 날리는 썸 메이커들의 반응도 또 다른 재미포인트이고요.
모솔연애에서 썸 메이커 얘기를 빼놓을 수 없는데요, 기존 연프의 스튜디오 패널과는 완전히 다른 소스이자 신의 한 수 입니다. 앞서 얘기했듯 썸 메이커 역할을 하는 패널들은 출연자들의 사연을 알기 때문에 그들을 애정 어리게 바라보고, 때론 팩트폭행도 서슴지 않습니다. 가끔 출연자들이 속 답답하게 하는 행동을 할 때마다 독설을 날려 시청자들의 속을 뻥 뚫어 주기도 하고요, 때론 시청자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을 썸 메이커들이 먼저 나서서 공감하고 변호해주기도 합니다. 이 모든 게 '성장'이라는 키워드를 시청자들에게 잘 전달할 수 있는 장치가 됩니다.
'모태솔로지만 연애는 하고 싶어'의 성공은 단순히 흥미로운 연애 예능의 등장을 넘어, 포화된 시장에서 어떻게 새로운 기회를 만들고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는지에 대한 강력한 청사진을 제시합니다. 이 프로그램의 성공 공식에서 모든 산업의 마케터들이 당장 자신의 브랜드에 적용해 볼 수 있는 세 가지 핵심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안합니다.
'모솔연애'는 모두가 ‘매력적인 사람’에만 집중할 때, 과감히 ‘서툰 사람’이라는 틈새를 파고들어 그들의 ‘날것’ 그대로의 모습을 무기로 전환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프로그램은 이 서투름을 단순한 구경거리로 남겨두지 않고 '성장'이라는 명확한 목적지를 제시했습니다. 시청자들은 바로 이 지점에서 단순한 관찰자를 넘어, 출연자들의 도전과 성장에 함께 가슴 졸이고 뜨거운 응원을 보내는 ‘팬’이 되었습니다. 결국 이 모든 전략은 한 가지 질문으로 귀결됩니다.
우리의 브랜드는 고객을 마케팅의 ‘대상’으로만 여기고 있습니까, 아니면 브랜드와 함께 ‘성장하는 파트너’로 바라보고 있습니까?
오늘의 소마코 콕 📌
✔️넷플릭스 '모태솔로지만 연애는 하고 싶어'는 '연애 초보'라는 틈새시장을 공략해 성공했습니다.
✔️출연자들의 서툴고 '날것' 같은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는 동시에, 전문가의 도움으로 '성장'하는 서사를 더해 시청자의 깊은 공감과 과몰입을 이끌어냈습니다.
✔️이는 완벽한 상품보다 진정성 있는 과정을, 일방적 판매보다 고객과 함께하는 '성장 서사'를 제공하는 것이 현시대 마케팅의 핵심임을 보여줍니다.
EDITOR 짱수안
"소마코 편집장, 다 아는 이야기 한 번 더 정리해 드려요"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