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연구소, 소마코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마케팅연구소, 소마코

메뉴 리스트

  • Homepage
  • Portfolio
  • 회사 소개서
  • Contact
  • Category (1623)
    • 마케팅 인사이트 (1450)
      • AI (30)
      • 콘텐츠 (311)
      • 캠페인 (233)
      • 브랜딩 (293)
      • 그로스 (16)
      • 바이럴 (67)
      • APP (74)
    • 소마코 오리지널 (159)
      • 시리즈 (139)
      • 인터뷰 (1)
      • 트렌드 리포트 (2)

검색 레이어

마케팅연구소, 소마코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Category

  • 동시에 유행하는 스몰 럭셔리와 짠테크

    2022.10.10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어쩌다 어른이 된 당신을 위한 단편 애니메이션 추천

    2022.10.07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네이버밴드를 MZ세대 픽으로 만든 네이버의 전략은?

    2022.10.06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소마코 콕터뷰] 그들은 왜 그 좋은 이름을 바꾸었을까? CJ온스타일

    2022.10.05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짱구, 코난을 안다면? 강백호도 알아야지

    2022.10.04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아이폰 스냅은 웨딩 시장에서 살아남을까?

    2022.10.03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예술의 중심으로, 현대카드 아트라이브러리

    2022.09.30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이제 편의점 판매가 바뀝니다: F&B 시장 휩쓴 ‘헬시 플레저’ 마케팅

    2022.09.29 by 알 수 없는 사용자

동시에 유행하는 스몰 럭셔리와 짠테크

동시에 유행하는 스몰 럭셔리와 짠테크 ▼ ▼ 최근 MZ세대의 소비 습관은 '짠테크'로 특징지어지는 데요. 이러한 특징은 물가 상승과 고금리 시대를 맞은 지금 세대를 막론하고 마찬가지이겠지만, 그중에서도 현재 MZ세대는 절약이 최우선 가치가 되었다는 사실을 지난 글에서 이야기했었죠. 또 이러한 절약 습관을 '절약 브이로그'나 인스타그램 '무지출 챌린지' 인증을 통해 공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소개해드렸었죠. 이런 분위기는 경제 상황에 이변이 없는 한 앞으로도 이어질 전망인데요. 이에 따라 사람들의 소비 습관도 많이 바뀌었습니다. 최근 많이 소비되고 있는 제품들을 살펴보면, 주로 벌크형 제품이나 유통 브랜드의 PB상품의 판매량이 급증했다는 사실도 알 수 있어요. 흥미로운 점은 그러면서도 여전히 값비싼 제품이나 ..

마케팅 인사이트 2022. 10. 10. 09:30

어쩌다 어른이 된 당신을 위한 단편 애니메이션 추천

어쩌다 어른이 된 당신을 위한 단편 애니메이션 추천 ▼ ▼ 애니메이션은 아이들을 위한 것이라는 인상이 강하지만, 사실 그 안에는 동화적인 은유와 상징을 통해 어른만이 이해할 수 있는 복합적이고 고차원적인 메시지가 담겨 있기도 해요. 삶에 지쳐 어쩌다 어른이 돼버린 많은 이를 위한 단편 애니메이션 네 편을 소개합니다! ▸ Coin Operated (6 min) 어느 날 길 위에서 발견한 코인 우주선 놀이기구. 어린 꼬마는 탈탈거리며 겨우 운행되는 이 놀이기구를 타면서 진짜로 우주에 갈 언젠가를 꿈꾸게 돼요. 그렇게 당장의 기쁨을 조금씩 유예하기 시작하죠. '오늘 돈 벌어서 내일은 우주에 가야지, 올해 돈 벌어서 내년은 우주에 가야지, 30대엔 돈 벌어서 40대엔 우주에 가야지.' 꼬마는 굳은 믿음을 키워가..

마케팅 인사이트/콘텐츠 2022. 10. 7. 09:30

네이버밴드를 MZ세대 픽으로 만든 네이버의 전략은?

네이버 밴드를 MZ세대 픽으로 만든 네이버의 전략은? ▼ ▼ 오늘의 주제는 2012년 만들어진 플랫폼 ‘네이버 밴드’입니다. 혹시 네이버 밴드가 중년 세대가 주로 사용하는 오래된 플랫폼이라고 생각하지 않으셨어요? 그러나 놀랍게도 실제 데이터를 통해 본다면, 네이버 밴드는 다른 계층만큼 1020세대에게도 활용도 높은 SNS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최근의 조사에 따르면 1020 세대의 이용률은 26%로 나타났어요. 그뿐만 아니라 올해 6월 조사에 따르면, 네이버밴드의 전체 이용자 수는 1890만 명으로 플랫폼 이용자 수 중에서 1위를 했는데요. 이 수치는 1118만명인 페이스북보다 훨씬 많으며 1889만 명인 인스타그램보다도 약간 더 많다고 하니 정말 놀라운 결과가 아닐 수 없어요. 소모임 등에 이용하는 것..

마케팅 인사이트 2022. 10. 6. 09:30

[소마코 콕터뷰] 그들은 왜 그 좋은 이름을 바꾸었을까? CJ온스타일

[소마코 콕터뷰] 2022년 10월 1주차Chapter3: 네이밍그들은 왜 그 좋은 이름을 바꾸었을까? CJ온스타일 커머스부문 브랜드커뮤니케이션팀> 노미혜 팀장 인터뷰글ㆍ재구성 | 천그루숲, 소마코by. 마케팅 컨설턴시 골드넥스 ▼  ▼   2021년, CJ오쇼핑은 CJ온스타일로 이름을 바꾸었다. 회사 내부의 반발이 만만치 않았다. 하지만 이 결정은 단순히 브랜드 이름을 바꾸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았다. 홈쇼핑에 치우친 비즈니스 모델에서 벗어나려는 오랜 고민의 결과였다. 가장 큰 이유는 시장이 변하고 소비자가 달라졌기 때문이다. 당장은 1등 홈쇼핑으로 승승장구하고 있었지만 다음 단계를 고민해야 했다. 그 결과 CJ온스타일은 차별화된 앱 서비스를 통해 과거의 영광을 이어오고 있다.    Q: 2009년 CJ..

마케팅 인사이트/브랜딩 2022. 10. 5. 09:30

짱구, 코난을 안다면? 강백호도 알아야지

짱구, 코난을 안다면? 강백호도 알아야지 ▼ ▼ 처럼 이십여 년 넘도록 이어진 애니메이션은 장기간 연재할 수 있는 스토리나 소재, 퀄리티 면에서도 의미가 있지만, 사람들의 문화적 생애주기에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도 눈 여겨 볼만 해요. 누군가는 자신의 청소년기를, 또 누군가는 자신의 청년기를 그 작품으로 기억하기도 하거든요. 그리고 올해, 가 25여 년 만에 영화로 재탄생됩니다. 1990년부터 1996년까지, 많은 이들의 마음을 뜨겁게 울렸던 작품이 조금 더 확장된 모습으로 그 당시의 추억을 꺼내들 예정이에요. ▸ 농구 체육관 바닥재로 스페셜 에디션 포스터를 는 일본 내에서만 1억 2,000만 부가 넘는 발행 부수를 기록하면서 TV 애니메이션은 물론 게임까지 활발하게 제작되었어요. 4년 전인 2018년에는..

마케팅 인사이트/캠페인 2022. 10. 4. 09:30

아이폰 스냅은 웨딩 시장에서 살아남을까?

아이폰 스냅은 웨딩 시장에서 살아남을까?  ▼  ▼   엔데믹 이후에 호황을 맞은 업계가 하나 있죠. 바로 웨딩업계인데요. 사회적 거리두기 때문에 그동안 미뤄진 결혼식들이 한꺼번에 이어지면서, 봄/가을과 같은 일반적인 웨딩 시즌 외에도 일년 내내 결혼식이 열리는 것을 흔하게 볼 수 있게 되었어요. 그런 와중에, 최근 들어서 웨딩 문화에 새롭게 자리 잡은 트렌드가 있는데요. 덕분에 요즘 결혼하는 신랑 신부들이 ‘이 고민’을 한다고 해요. 바로 ‘아이폰 서브 스냅’입니다!     정말 따끈따끈한 새로운 트렌드이기 때문에, ‘아이폰 서브스냅’이 대체 무엇인지 생소한 분들도 많을 것 같아요. 웨딩하면 뭐니 뭐니 해도 과정을 ‘사진’으로 남기는 것이 중요하고, 본식 전에도 리허설 촬영 등 많은 사진 촬영이 이어지..

마케팅 인사이트/바이럴 2022. 10. 3. 09:30

예술의 중심으로, 현대카드 아트라이브러리

예술의 중심으로, 현대카드 아트라이브러리 ▼  ▼   현대카드는 국내에 전세계적인 스타의 공연을 기획해온 만큼 대중문화에 독보적인 기록을 세워 온 것으로 유명합니다. 그 외에도 여행, 요리 등 한 가지 주제를 가지고 깊이 들여다 볼 수 있는 도서관을 세우기도 했고요. 예술과 공연, 공유와 경험의 가치를 우선시하는 현대카드가 올여름에는 이태원에 '현대카드 아트 라이브러리'를 열었어요. 심지어 이 아트 라이브러리 개관을 위해 전 세계 미술관 등에서 인정받은 희귀본 등 관련 도서를 성실히 수집했다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이 공간이 MZ세대의 환호를 받을 수 있던 이유가 무엇인지 알아볼까요?       ▸ 현대미술 특성의 집합체 이태원 '현대카드 아트 라이브러리'   먼저 현대카드가 현대미술(Contemporar..

마케팅 인사이트/브랜딩 2022. 9. 30. 09:30

이제 편의점 판매가 바뀝니다: F&B 시장 휩쓴 ‘헬시 플레저’ 마케팅

이제 편의점 판매가 바뀝니다: F&B 시장 휩쓴 ‘헬시 플레저’ 마케팅 ▼  ▼   ▸ ‘헬시 플레저’가 무슨 트렌드냐고요?     ‘헬시 플레저(healthy pleasure)’가 마케팅의 방향성이 된 걸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요즘인데요. 특히 F&B 시장은 지금 '헬시 플레저'가 핵심적인 키워드라고 할 수 있어요. 김난도 교수는 작년 말, 2022년 트렌드리포트를 발표하면서 올해 마케팅 트렌드 중 하나로 '헬시 플레저'를 꼽기도 했다고 하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헬시 플레저’라는 말은 언뜻 듣기에는 생소하기도 하죠.   그래서 ‘플레저한’ 건강이란 대체 무엇이냐구요? 헬스 플레저는 이제까지 괴롭거나 원하는 걸 참으면서 해왔던 건강관리가 즐거운(pleasure) 것으로 변화한다는 의미를 담고 ..

마케팅 인사이트/바이럴 2022. 9. 29. 09:3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 203
다음
TISTORY
마케팅연구소, 소마코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