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연구소, 소마코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마케팅연구소, 소마코

메뉴 리스트

  • Homepage
  • Portfolio
  • 회사 소개서
  • Contact
  • Category (1516) N
    • 마케팅 인사이트 (1363) N
      • AI (17)
      • 콘텐츠 (294)
      • 캠페인 (213) N
      • 브랜딩 (279)
      • 그로스 (7)
      • 바이럴 (63)
      • APP (69)
    • 소마코 오리지널 (143)
      • 시리즈 (134)
      • 인터뷰 (1)
      • 트렌드 리포트 (2)

검색 레이어

마케팅연구소, 소마코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소비트렌드

  • 새 옷 안 사는 MZ세대, 중고 패션 시장이 뜬다!

    2024.09.06 by J_JG

  • 팝업스토어에 질렸다면, '팩토리 투어'는 어때?

    2024.05.30 by J_JG

  • 요즘 부모들의 소비 트렌드 (feat. 밀레니얼&알파 세대)

    2024.05.08 by J_JG

  • CJ올리브영, '헬스+' 출시로 매출 10% 증가?

    2024.04.11 by J_JG

  • 2030 회원수 53% 증가, 홈플러스의 '착한 마케팅'

    2023.08.14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명품 구독하고, 플랫폼으로 사는 MZ세대

    2023.01.02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코로나로 인해 변화된 언택트 소비 트렌드 '라이브커머스'

    2020.12.14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MZ세대의 소비 트렌드, 착한소비, 미닝아웃에 대하여

    2020.12.04 by 알 수 없는 사용자

새 옷 안 사는 MZ세대, 중고 패션 시장이 뜬다!

중고 패션 시장이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같은 기간 동안 집계한 결과, 글로벌 중고 패션 시장이 28% 성장하는 동안 일반 패션 시장은 200억 달러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고 해요. 패션 시장이 전체적으로 부진하고 있는 가운데, 패션 리커머스 시장은 조용히 덩치를 키우고 있던 것이죠. 이는 전 세계적인 추세로, 국내에서는 올해 1월, 번개장터 '패션' 부문의 거래액이 1조 원을 넘은 것으로 밝혀졌고, 이는 번개장터 내 전체 중고 거래량의 44%, 거래액의 38%를 차지한 수치라고 해요. 또, 기존 명품 브랜드들이 자체적으로 중고 거래 플랫폼을 만들기도 하고, 중고 패션에 집중한 신규 어플과 서비스들도 생겨나고 있죠. 이 중 주목할 만한 두 가지 서비스를 소개할게요.    1️⃣ 판매까지 맏길 수 ..

마케팅 인사이트/APP 2024. 9. 6. 08:00

팝업스토어에 질렸다면, '팩토리 투어'는 어때?

어떤 경험을 하느냐에 따라 소비가 결정되는 시대입니다. 예전에는 단순히 광고로 제품을 홍보했다면, 이제는 제품을 실제로 경험하거나, 해당 브랜드에 대한 좋은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면서 소비를 이끌어내죠. 이제 ‘경험소비’라는 단어는 새롭지 않습니다. 대표적인 경험소비인 팝업스토어는 한 공간에 여러 가지 체험형, 전시형 부스를 만들어 제품 또는 브랜드 자체에 대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지금도 성수동에서는 한 달에도 셀 수 없이 많은 팝업스토어들이 생기고 있죠.  1️⃣ 아모레 뷰티파크 (by. 아모레퍼시픽)이런 팝업스토어에서 조금 더 나아가, 요즘은 팩토리 투어가 떠오르고 있어요. 팝업스토어는 브랜드의 분위기에 맞는 동네에, 잠시 만들어졌다가 없어지는 공간이라면, 팩토리는 실제로 모든 제작 ..

마케팅 인사이트/캠페인 2024. 5. 30. 10:30

요즘 부모들의 소비 트렌드 (feat. 밀레니얼&알파 세대)

요즘 소비 트렌드를 이끄는 세대로 알파세대와 밀레니얼 세대가 주목받고 있어요. 알파세대란 2010년에서 2024년 사이에 태어난 세대로, 사회에서 가장 어린 층으로 분류되는 세대죠. MZ세대보다도 어린 세대로, 가장 차세대 소비 트렌드를 이끄는 소비층입니다. 하지만 시장에선 또 다른 세대도 주목하고 있어요. 바로 알파세대의 부모님 세대인 밀레니얼 세대입니다. 밀레니얼 세대는 1980년대 초반에서 2000년대 초반에 출생한 세대로, 어느덧 ‘알파 키즈’의 부모가 되었죠. 이 두 세대가 모두주목받는 이유는 바로 이들이 가족을 이루고, 가족으로서 소비 시장의 주축을 이루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이에 맞춰 ‘가족 친화 마케팅’도 떠오르고 있어요. 알파세대와 밀레니얼 부모는 정서적으로 매우 가깝습니다. 오픈서베이의..

마케팅 인사이트 2024. 5. 8. 09:31

CJ올리브영, '헬스+' 출시로 매출 10% 증가?

웰니스의 유행이 시장에서도 뚜렷한 흐름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건강과 관련하여 운동, 건강식품 등등 다양한 카테고리들이 유행하고 있어요. 운동에서는 최근 러닝 붐이 일어나고 있고, 식품 트렌드도 ‘헬스 앤 웰니스’의 확산으로 저당, 저칼로리 제품 라인업이 강화되고 있죠. 이 같은 시장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올리브영이 웰니스 카테고리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습니다. 웰니스 상품을 큐레이션한 앱인 앱 ‘헬스+’를 출시한 것이에요. 웰니스(Wellness)는 웰빙(well-being), 행복(happiness), 건강(fitness)의 합성어로,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건강이 조화로운 상태를 뜻합니다. 좁게는 건강식품부터, 넓게는 일상의 건강함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라이프스타일과 서비스를 포괄하죠. M..

마케팅 인사이트/브랜딩 2024. 4. 11. 09:30

2030 회원수 53% 증가, 홈플러스의 '착한 마케팅'

2030 회원수 53% 증가, 홈플러스의 '착한 마케팅' ▼ ▼ 홈플러스의 올해 상반기 성적표가 나왔어요. 작년 대비 온라인 전체 매출은 11% 증가했고, 퀵커머스 '1시간 즉시배송' 매출은 55% 증가했습니다. 2회 이상 구매한 단골 고객은 16%, 2030 회원수는 전년 대비 53%나 늘어났죠. 홈플러스는 어떤 전략으로 이렇게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었을까요? 1️⃣고객의 행동을 분석한 '커스터마이징' 서비스 먼저, 홈플러스의 '커스터마이징' 전략이 주요했습니다. 홈플러스는 온라인몰에 방문하는 고객들의 최근 검색어, 자주 구매하는 상품, 장바구니 상품 등 고객들의 데이터를 수집했고, 이를 기반으로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도입했어요.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을 분석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것이죠. 이 결..

마케팅 인사이트/브랜딩 2023. 8. 14. 09:30

명품 구독하고, 플랫폼으로 사는 MZ세대

명품 구독하고, 플랫폼으로 사는 MZ세대  ▼  ▼  MZ 세대를 중심으로 소비 심리가 양분화되고 있다는 점을 지난 글을 통해서 이야기했는데요. 평소에는 절약하면서도 하이엔드 제품이나 오마카세나 호텔 뷔페 같은 소비에서 2030 세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늘어나고 있죠. 이미 하이엔드 브랜드나 백화점이 Z세대를 주목하기도 하고요. 이렇게 젊은 세대의 명품 소비가 늘어났다고 할 때, 요즘 명품과 관련한 트렌드는 뭘까요? 아무래도 구독과 플랫폼이라는 방법으로 명품을 이용한다는 것이 새로운 소비 습관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새로운 소비 습관 1 '구독'  먼저 최근 명품 구독 서비스 중에서 최초로 '시계' 서비스가 등장했어요. LF의 하이엔드 편집숍인 라움(RAUM)에서 운영하는 프리미엄 시계 매장..

마케팅 인사이트/브랜딩 2023. 1. 2. 09:30

코로나로 인해 변화된 언택트 소비 트렌드 '라이브커머스'

열병과 같이 금방 지나칠 것만 같았던 코로나 19는 2020년 한 해 동안 우리를 괴롭혔습니다 전 세계적인 확산으로 해외여행을 갈 수 없는 것은 물론,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일상생활에도 크고 작은 제약들이 생겼습니다. 서로간 만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해 이로 인해 언택트(비대면) 문화가 새롭게 태동했습니다. 업무적으로는 재택근무, 화상 채팅을 활용한 비대면 미팅 등의 변화가 생겼습니다. 그리고 일상 속 소비 트렌드에도 변화가 생겼습니다. 비대면으로 소비가 가능한 온라인 쇼핑 시장이 크게 성장했고 그 중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실시간 라이브 커머스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코로나 19 판데믹, 라이브커머스의 시대를 앞당기다 라이브 커머스는 기술적으로 엄청난 발전과 이슈가 될 내용은 아닙니다..

마케팅 인사이트 2020. 12. 14. 18:30

MZ세대의 소비 트렌드, 착한소비, 미닝아웃에 대하여

'가성비'라는 단어를 아시나요? '가성비'는 '가격 대비 성능'의 줄임말로 가격과 성능의 비율을 뜻하는데요. 예를 들어 이야기하자면 투자한 돈에 비해 기능의 효율이나 제품의 내실이 좋을 때 '이 제품의 가성비가 좋다'라는 표현을 하고는 합니다. 대표적 가성비가 좋은 제품으로는 대륙의 실수라는 별명까지 얻었던 '샤오미', 맥북에어와 비슷한 외형으로 인민에어라는 별명의 '한성컴퓨터 노트북' 등이 있습니다. 가성비라는 단어는 보통 IT 상품 카테고리에서 고가의 제품을 대신할 수 있는 합리적 금액의 제품을 찾으면서 시작된 단어인데요. 점점 시간이 지나 IT 상품을 넘어 의류, 명품 그리고 음식까지 전반적인 소비 트렌드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가성비라는 말도 옛말이 되어버렸습니다. MZ세대를 중심으로 소비의..

마케팅 인사이트 2020. 12. 4. 15:09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마케팅연구소, 소마코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