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연구소, 소마코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마케팅연구소, 소마코

메뉴 리스트

  • Homepage
  • Portfolio
  • 회사 소개서
  • Contact
  • Category (1561) N
    • 마케팅 인사이트 (1398) N
      • AI (22) N
      • 콘텐츠 (303)
      • 캠페인 (220)
      • 브랜딩 (284)
      • 그로스 (9)
      • 바이럴 (65)
      • APP (71)
    • 소마코 오리지널 (151)
      • 시리즈 (136)
      • 인터뷰 (1)
      • 트렌드 리포트 (2)

검색 레이어

마케팅연구소, 소마코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마케팅 인사이트/바이럴

  • 왜 그렇게 인기가 많을까? 자이언트 얀

    2023.02.10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감각적이고 힙한 서울 시내 위스키바

    2023.02.02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다이소가 하이틴을 만나면?

    2022.12.27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퇴근하고 히노끼탕 가기? 일상 속의 배스케이션

    2022.11.03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ㄴr는 ㄱr끔 종ㅇ1ㄱr 그립ㄷr…

    2022.10.25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우리집 쪼꼬랑 여행갈래!

    2022.10.14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아이폰 스냅은 웨딩 시장에서 살아남을까?

    2022.10.03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이제 편의점 판매가 바뀝니다: F&B 시장 휩쓴 ‘헬시 플레저’ 마케팅

    2022.09.29 by 알 수 없는 사용자

왜 그렇게 인기가 많을까? 자이언트 얀

왜 그렇게 인기가 많을까? 자이언트 얀 ▼  ▼    SNS와 커뮤니티, 유튜브 브이로그 등 다양한 일상 콘텐츠 안에서 자이언트 얀으로 만든 다양한 소품을 쉽게 볼 수 있어요. 가방, 파우치, 귀여운 모자 등 대부분 패션 아이템이나 액세서리 등으로 활용되고 있죠. 사실 뜨개질은 아주 오랫동안 많은 사람의 선호를 받아왔어요. 기능적으로나 심미적으로나 그 역할을 톡톡히 해왔거든요. 그럼에도 직접 뜨개질을 뜨는 사람보다 완제품을 구매하는 사람들이 전적으로 많았는데, 자이언트 얀은 오히려 손수 제품을 만들어 사용하려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어요. 기존 뜨개질 제품과 다른, 자이언트 얀의 고유한 특징은 무엇일까요? 어떤 점이 MZ세대를 매료시킬 수 있었을까요?         굵은 뜨개실을 의미하는 자이언트 얀은 ..

마케팅 인사이트/바이럴 2023. 2. 10. 09:30

감각적이고 힙한 서울 시내 위스키바

감각적이고 힙한 서울 시내 위스키바 ▼  ▼    ▸힙해진 위스키 신년을 맞아서 최근 이마트가 진행한 행사가 있어요. 바로 위스키 런데이 행사인데요. 1월 6~7일 이틀간 이마트 지점마다 위스키를 제품별로 할인하면서 사람들이 위스키 오픈런을 하기도 했어요. 그럼 이쯤에서 궁금증이 생기는데요. 이마트는 왜 신년 행사로 '위스키'에 주목한 걸까요? 물론 위스키나 전통주, 와인 등 고급 주류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사실 이번 행사에는 Z세대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어요.    위스키 붐과 Z세대의 연관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은 광고의 변화인데요. 보통 중년 남성배우가 주로 위스키 광고를 맡아왔던 데 반해, 최근 들어서는 미노이나 샤이니 민호가 떠올라요. 물론 미노이가 광고한 짐빔이나 샤이니..

마케팅 인사이트/바이럴 2023. 2. 2. 09:30

다이소가 하이틴을 만나면?

다이소가 하이틴을 만나면? ▼ ▼ … 2000년대 초반을 상징하는 푸릇푸릇한 하이틴 영화들이 여전히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데요! 분홍빛과 보랏빛으로 가득한 영화 속 분위기를 따라 브랜딩 컨셉을 잡거나 비슷한 무드의 제품을 판매하기도 해요. 이번엔 다이소에서 하이틴 느낌을 가득 넣은 기획 상품을 선보였어요! 어떤 느낌으로 하이틴 무드를 제품화했는지 볼까요? 먼저 (가장 왼쪽 사진의) 하이틴 반짝이 키링과 비즈스트랩 키링은 소지품에 명랑한 포인트를 줄 수 있도록 디자인했어요. 함께 출시한 6공 다이어리에 장식하면 의 주인공 엘이 들고 다니는 듯한 느낌을 자아낼 수 있어요. 이러한 제품 디자인은 결과적으로 하이틴 제품을 즐겨 쓰는 1020 세대의 취향을 적극적으로 대입해서 만들었다고 볼 수 있어요. 또 이 세..

마케팅 인사이트/바이럴 2022. 12. 27. 09:30

퇴근하고 히노끼탕 가기? 일상 속의 배스케이션

퇴근하고 히노끼탕 가기? 일상 속의 배스케이션 ▼  ▼   혹시 배스케이션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목욕을 의미하는 Bath와 휴가 Vacation의 합성어를 뜻해요. 휴가 중이나 호캉스를 하면서 목욕을 하는 경우는 많지만 ‘목욕’ 자체가 어떻게 휴가의 의미가 되는 것인지 궁금하기도 한데요. 최근에는 프리미엄 욕실 공간 서비스들이 생기면서, 일상 속에서 목욕을 통해 힐링하는 문화가 생겼다고 해요. 사례를 통해서 한번 볼까요?    ▸ 프라이빗하게, 욕실 대여 서비스  먼저 욕실 전문 브랜드인 이누스에서 후암동에 만든 ‘후암별채 이누스’가 올해 등장했어요. 이누스는 히노끼탕으로 되어있는 욕조 공간을 프라이빗하게 대여해주는 서비스를 만들어 공간을 운영하고 있는데요. 하루에 딱 1명만 예약을 받는데다가, 최대..

마케팅 인사이트/바이럴 2022. 11. 3. 09:34

ㄴr는 ㄱr끔 종ㅇ1ㄱr 그립ㄷr…

ㄴr는 ㄱr끔 종ㅇ1ㄱr 그립ㄷr…  ▼  ▼   디지털 네이티브인 Z세대는 자신이 직접 경험하지 못한 아날로그 감성을 중시하고 있어요. 스트리밍보다는 LP, 팟캐스트 보다는라디오, 디지털카메라보다는 구형 캠코더, 카카오톡보다는 삐삐를 선호하면서 경험해보지 못한 어떤 시절을 그리워하죠. 이러한 트렌드 사이에서 종이 질감을 그대로 구현한 재미난 어플들이 있어요. 사각사각, 빳빳한 그 텍스처를 통해 레트로 열풍을 한껏 누리는 어플들은 어떤 특징을 갖고 있을까요?   ▸ 만화경    온라인 만화책방이라는 컨셉으로 웹툰을 제공하는 '만화경'이에요! 과거 유행했던 이나 , 등을 떠올릴 만한 요소들로 한가득하게, 그 시절의 월간 만화 스타일을 잘 구현했어요. 격주에 한 번씩 출간되는 만화경의 간행물은 다양한 장르..

마케팅 인사이트/바이럴 2022. 10. 25. 09:30

우리집 쪼꼬랑 여행갈래!

우리집 쪼꼬랑 여행갈래!  ▼  ▼    엔데믹에 접어들면서 여행에 대한 수요가 무척 늘어나고 있어요! 이런 상황에 여행관광 산업에선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을까요? 개, 고양이 등 사랑하는 반려동물과 함께 항공기를 타려는 여행객이 늘어나고, 이러한 사람들을 위한 '펫 마케팅'이 자연스레 강조되고 있답니다. 우리 집 쪼꼬와 여행 가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오늘의 펫 마케팅! 조금 더 들여다볼까요?      ▸ 펫팸족을 공략하는 반려동물 여행 시장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는 '펫팸족(Pet + Family)'이 급증하면서 펫 동반 여행 상품을 출시하는 펫 카테고리를 신설하고 있어요. 반려동물 여행 시장이 커지면서 이러한 수요를 상품 구성에 발 빠르게 반영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어요. 실제로 한국관광공사..

마케팅 인사이트/바이럴 2022. 10. 14. 09:30

아이폰 스냅은 웨딩 시장에서 살아남을까?

아이폰 스냅은 웨딩 시장에서 살아남을까?  ▼  ▼   엔데믹 이후에 호황을 맞은 업계가 하나 있죠. 바로 웨딩업계인데요. 사회적 거리두기 때문에 그동안 미뤄진 결혼식들이 한꺼번에 이어지면서, 봄/가을과 같은 일반적인 웨딩 시즌 외에도 일년 내내 결혼식이 열리는 것을 흔하게 볼 수 있게 되었어요. 그런 와중에, 최근 들어서 웨딩 문화에 새롭게 자리 잡은 트렌드가 있는데요. 덕분에 요즘 결혼하는 신랑 신부들이 ‘이 고민’을 한다고 해요. 바로 ‘아이폰 서브 스냅’입니다!     정말 따끈따끈한 새로운 트렌드이기 때문에, ‘아이폰 서브스냅’이 대체 무엇인지 생소한 분들도 많을 것 같아요. 웨딩하면 뭐니 뭐니 해도 과정을 ‘사진’으로 남기는 것이 중요하고, 본식 전에도 리허설 촬영 등 많은 사진 촬영이 이어지..

마케팅 인사이트/바이럴 2022. 10. 3. 09:30

이제 편의점 판매가 바뀝니다: F&B 시장 휩쓴 ‘헬시 플레저’ 마케팅

이제 편의점 판매가 바뀝니다: F&B 시장 휩쓴 ‘헬시 플레저’ 마케팅 ▼  ▼   ▸ ‘헬시 플레저’가 무슨 트렌드냐고요?     ‘헬시 플레저(healthy pleasure)’가 마케팅의 방향성이 된 걸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요즘인데요. 특히 F&B 시장은 지금 '헬시 플레저'가 핵심적인 키워드라고 할 수 있어요. 김난도 교수는 작년 말, 2022년 트렌드리포트를 발표하면서 올해 마케팅 트렌드 중 하나로 '헬시 플레저'를 꼽기도 했다고 하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헬시 플레저’라는 말은 언뜻 듣기에는 생소하기도 하죠.   그래서 ‘플레저한’ 건강이란 대체 무엇이냐구요? 헬스 플레저는 이제까지 괴롭거나 원하는 걸 참으면서 해왔던 건강관리가 즐거운(pleasure) 것으로 변화한다는 의미를 담고 ..

마케팅 인사이트/바이럴 2022. 9. 29. 09:3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3 4 5 6 7 8 9
다음
TISTORY
마케팅연구소, 소마코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