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연구소, 소마코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마케팅연구소, 소마코

메뉴 리스트

  • Homepage
  • Portfolio
  • 회사 소개서
  • Contact
  • Category (1635) N
    • 마케팅 인사이트 (1459)
      • AI (31)
      • 콘텐츠 (312)
      • 캠페인 (234)
      • 브랜딩 (296)
      • 그로스 (16)
      • 바이럴 (67)
      • APP (74)
    • 소마코 오리지널 (161)
      • 시리즈 (141)
      • 인터뷰 (1)
      • 트렌드 리포트 (2)

검색 레이어

마케팅연구소, 소마코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Category

  • 브랜드 저널리즘, 왜 필요할까요?

    2019.06.07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새로운 교통수단! 전동킥보드 공유 서비스 '킥고잉' 앱 데이터 분석

    2019.06.03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브랜드 저널리즘이 뭔가요?

    2019.05.30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브랜드 저널리즘의 뿌리, 콘텐츠 마케팅을 말하다

    2019.05.21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지금은 투잡시대! 프리랜서 마켓 ‘크몽’ 앱 분석!

    2019.05.20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의사가 만든 성형 앱? ‘강남언니’ 앱 유저 데이터 분석

    2019.05.02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알뜰살뜰 해피포인트 앱, 누가 많이 사용할까?

    2019.04.29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대세 셀피 카메라 '소다'&'유라이크' 앱 비교 분석!

    2019.03.28 by 알 수 없는 사용자

브랜드 저널리즘, 왜 필요할까요?

③ 브랜드 저널리즘, 왜 필요할까요? 언제 어디서든 기업과 소비자가 상호작용이 가능한 스마트 환경은 기업의 마케팅에도 큰 지각변동을 가져왔습니다. 기업과 이용자 간의 인터랙션이 24시간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가능해지게 된 것이죠. 앞서 살펴본 나이키의 언리미티드 해시태그 캠페인에서처럼 이용자의 자발적 참여가 화제가 된 것도 핸드폰 등 모바일 기기에서 쉽게 사진을 촬영하고 업로드가 가능했기 때문입니다. “나이키 해시태그 캠페인을 통해 자신의 신체적 한계나 나이, 성별과 상관없이 누구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다는 것을 알리고 싶었다.” 나이키 CMO인 그레그 호프만은 달라진 미디어 소비 환경에 집중했고 효과적으로 활용한 것이죠. 결과적으로 장애를 극복한 패럴림픽 선수와 동네 공원에서 조깅을 즐기는 사람 사..

마케팅 인사이트 2019. 6. 7. 15:23

새로운 교통수단! 전동킥보드 공유 서비스 '킥고잉' 앱 데이터 분석

혹시 걷기에는 멀고, 대중교통을 이용하기에는 애매한 거리를 조금 더 편하게 가고 싶다는 생각해보신적 있나요? 특히 1분 1초가 급한 출/퇴근 시간이라면 이 애매한 거리를 조금 더 쉽게 이동하고 싶다는 생각이 더욱 간절할 것 같습니다. 이러한 니즈를 캐치하고 세계적으로 '마이크로 모빌리티'에 대한 관심과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마이크로 모빌리티'는 최근 짧은 거리 이동을 효율적으로 도와주는 서비스로  공유 전기 자전거와 공유 전동 킥보드 등이 있습니다. 특히 한국에서는 공유 전동킥보드 서비스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작년(2018년) 9월 국내 최초로 공유 전동 킥보드 서비스를 선보인 '킥고잉'은 강남 일대에서 시범적으로 서비스를 진행했는데요. 단기간 급성장하며 현재는 서울 강남, 마포, 송파, 영..

마케팅 인사이트/APP 2019. 6. 3. 11:50

브랜드 저널리즘이 뭔가요?

브랜드 저널리즘, 소셜마케팅코리아에 묻다 ② 브랜드 저널리즘이 뭔가요? 수많은 마케터와 브랜딩 담당자들이 가끔 머리 속에서 이런 질문은 떠올렸을 것입니다. “브랜드 저널리즘이란 걸 대체 누가 말해 가지고는!” 위기에 빠진 브랜드의 기사회생을 돕기도 했고 이러한 선례가 부메랑이 되어 수많은 브랜드 관련 담당자들의 안위를 걱정하게 한 ‘브랜드 저널리즘’은 2004년 처음 언급된 용어입니다. 그럼, 누가 말했을까요? 맥도날드의 글로벌 CMO(최고마케팅담당자)였던 래리 라이트(Larry Light)가 뉴욕에서 개최된 한 광고 컨퍼런스에서 사용했습니다. 그는 슬럼프의 위기에서 벗어나게 한 맥도날드의 자사 마케팅을 소개하면서 브랜드 저널리즘을 세상에 탄생시켰습니다. 그는 “기존의 매스 미디어를 통한 마케팅은 이미 ..

마케팅 인사이트 2019. 5. 30. 13:00

브랜드 저널리즘의 뿌리, 콘텐츠 마케팅을 말하다

브랜드 저널리즘, 소셜마케팅코리아에 묻다 ① 브랜드 저널리즘의 뿌리, 콘텐츠 마케팅을 말하다 만날 때마다 자기 자랑만 늘어놓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런 상대와 진솔한 대화가 가능할까요? 대화는커녕 만남 자체가 꺼려지게 마련이죠. 브랜드도 마찬가지일 겁니다. 브랜드 광고를 통해 제품의 장점과 사양만 일방적으로 소비자에게 늘어놓는 방식은 더 이상 통하지 않습니다. 요즘의 소비자는 브랜드의 ‘자기 자랑’ 보다는 브랜드만의 가치 있는 정보, 철학 등을 더 듣고 싶어하기 때문이죠. 브랜드가 스스로 이야기하는 화자, 즉 ‘미디어’가 돼 다양한 관점과 이야기를 전하는 형태의 ‘브랜드 저널리즘’은 이러한 이유로 태동하게 됐습니다. 브랜드 저널리즘을 이야기하기에 앞서 먼저 콘텐츠 마케팅에 대해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습니다..

마케팅 인사이트 2019. 5. 21. 11:02

지금은 투잡시대! 프리랜서 마켓 ‘크몽’ 앱 분석!

긱 이코노미(Gig economoy)라는 단어를 들어보셨나요? 긱 이코노미는 스마트폰 앱이나 플랫폼을 활용하여 노동력을 주고받는 기간제 근로를 의미합니다.  노동자는 회사에 소속되지 않고 긱 이코노미 플랫폼을 통해 일하고 싶을 때 일할 수 있는 자유를 얻는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실제 긱 이코노미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 중인데요. 글로벌 컨설팅 업체 맥킨지에 따르면 현재 미국의 긱 노동자는 35%쯤 되며 2020년에는 40%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글로벌 추세에 따라 한국에서도 긱 이코노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한국의 긱 이코노미 플랫폼은 최근 누적 거래액 750억원을 돌파한 '크몽'이 가장 대중적으로 알려진 서비스가 아닐까 싶습니다. 크몽은 마케팅, 디자인, 개발..

마케팅 인사이트/APP 2019. 5. 20. 18:38

의사가 만든 성형 앱? ‘강남언니’ 앱 유저 데이터 분석

네이버에 '성형'이라는 단어를 검색했을 때 노출되는 블로그 게시글은 몇 개일까요? 약 300만 건입니다. 거기다 성형 관련 카페는 약 5천 개가 노출되고 있으며 그중 가장 회원 수가 많은 카페는 약 94만 명이 가입되어있는데요. 단순히 수치적으로만 생각해도 약 9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성형에 큰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정보를 업로드하고 찾아보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9년 4월 기준) 성형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대략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실제 견적까지도 궁금할 것 같은데요. 막상 견적을 알아보기 위해 병원을 찾아다니기에는 강남에만 어마어마한 병원들이 빼곡히 있기에 막막할 어떻게 시작하고 상담을 받아야 할지 막막할 것 같습니다. 이와 같은 고민을 하는 사람들을 위한 앱이 있..

마케팅 인사이트/콘텐츠 2019. 5. 2. 10:39

알뜰살뜰 해피포인트 앱, 누가 많이 사용할까?

한국, 도심에 사는 사람들이라면 파리바게뜨, 배스킨라빈스 31에 한 번쯤은 가보셨을 것입니다. 한 번도 안 가봤다 하더라도 상호명은 한번쯤 들어보셨을 것 같은데요. 이 두 매장의 공통점은 해피포인트로 마일리지가 적립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해피포인트는 SPC그룹 계열의 SPC클라우드(주)에서 운영하는 마일리지 브랜드입니다. 앞서 설명드린 파리바게뜨, 배스킨라빈스 31를 포함하여 파리크라상, 던킨도너츠, 파스쿠찌 등 다양한 브랜드 매장에서 공동으로 포인트 적립 및 사용 가능한 서비스입니다. 스마트폰 '해피포인트' 앱을 통해서 전국 6천여 개 매장에서 손쉽게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데요. 접근성과 편의성 덕분인지 구글플레이 라이프 스타일 스토어 랭킹에서도 지속적으로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그렇다면 이처..

마케팅 인사이트/APP 2019. 4. 29. 12:40

대세 셀피 카메라 '소다'&'유라이크' 앱 비교 분석!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셀카(셀프카메라)를 찍어본 적이 있을 겁니다. 최근 출시한 갤럭시 S10에는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초점을 맞추는 등 셀카를 위한 기능도 있다고 하는데요. 이처럼 신형 스마트폰을 홍보할 때 셀카 기능을 어필한다는 것 자체가 사람들이 셀카 기능을 그만큼 중요시 여긴다고 간접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왕이면 더 이쁘게, 더 멋진 셀카를 찍고 싶어서인지 사진을 이쁘게 꾸며주는 뷰티 카메라 앱들도 참 많은데요. 사람들은 어떤 뷰티 카메라 앱을 많이 사용하고 있을까요? 바로 '소다' 앱과 '유라이크' 앱입니다. 이 두 앱은 구글 플레이 사진 카테고리 무료 랭킹에서 지속적으로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는데요. 구글 플레이 사진 카테고리 무료 스토어랭킹(..

마케팅 인사이트/콘텐츠 2019. 3. 28. 10:1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138 139 140 141 142 143 144 ··· 205
다음
TISTORY
마케팅연구소, 소마코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