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연구소, 소마코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마케팅연구소, 소마코

메뉴 리스트

  • Homepage
  • Portfolio
  • 회사 소개서
  • Contact
  • Category (1514) N
    • 마케팅 인사이트 (1362) N
      • AI (17)
      • 콘텐츠 (294) N
      • 캠페인 (212)
      • 브랜딩 (279)
      • 그로스 (7)
      • 바이럴 (63)
      • APP (69)
    • 소마코 오리지널 (143) N
      • 시리즈 (134) N
      • 인터뷰 (1)
      • 트렌드 리포트 (2)

검색 레이어

마케팅연구소, 소마코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왓챠

  • 마니아층을 공략한 왓챠, 드디어 흑자 전환 성공했다

    2024.07.29 by J_JG

  • 카톡으로 영화 선물? 왓챠 'VOD 선물하기' 런칭

    2023.11.09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당신의 취향을 사로잡는 토종 OTT 왓챠의 마케팅

    2022.07.14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엔데믹에 대처하는 플랫폼의 자세

    2022.06.13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방콕생활 뭐 볼까?: 넷플릭스 vs 왓챠

    2021.04.23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요즘애들 요즘유행]요즘애들의 집콕 콘텐츠 OTT 서비스에 주목하다

    2021.02.16 by 알 수 없는 사용자

마니아층을 공략한 왓챠, 드디어 흑자 전환 성공했다

넷플릭스부터 디즈니플러스, 쿠팡 플레이, 티빙, 웨이브, 왓챠까지 국내외 OTT 산업의 확장에 따라 공중파 방송은 물론 영화관까지 위협을 받고 있는 지금, OTT 서비스의 경쟁도 매우 치열합니다. 시청자들을 포섭하기 위해 각 OTT는 비슷한 듯 서로 다른 전략을 펼치고 있어요.OTT 서비스의 대표주자인 넷플릭스는 드라마와 영화를 중심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며, 자체 콘텐츠인 오리지널 콘텐츠에도 공을 들이고 있어요. 국내 토종 OTT인 티빙과 쿠팡 플레이는 이에 대항하기 위해 스포츠 콘텐츠로 영역을 확장했죠. 티빙은 KBO 독점 중계권을, 쿠팡플레이는 해외 축구부터 골프 등 다양한 스포츠 방송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인지, 최근 국내 OTT가 업계 1위 넷플릭스와 간격을 좁혀가기 시작했어요. 올해부터 넷..

마케팅 인사이트/브랜딩 2024. 7. 29. 10:30

카톡으로 영화 선물? 왓챠 'VOD 선물하기' 런칭

카톡으로 영화 선물? 왓챠 'VOD 선물하기' 런칭 ▼ ▼ 영화를 선물로 주고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날이 갈수록 '카카오톡 선물하기'에 더 다양한 상품들과 브랜드들이 입점되고 있어요. 최근 왓챠가 '카카오톡 선물하기'를 통해 최신/인기 영화 VOD 이용권을 구매하고 선물할 수 있는 '왓챠 개봉관'을 오픈했는데요. 선물 받은 사람은 왓챠 앱에서 해당 이용권을 등록할 수 있어요. 왓챠를 구독하지 않아도 선물하기와 선물 받기 모두 가능하며, 평생 소장 형태로도 구입할 수 있어 유용해요. 왓챠가 ‘영화 선물하기’ 서비스를 오픈하게 된 이유는 뭘까요? 아마 여러분들도 넷플릭스, 왓챠, 디즈니플러스 등 최소 하나 이상의 OTT 서비스를 구독하고 계실 거예요. OTT 이용자들은 서로 계정을 공유하기도..

마케팅 인사이트/콘텐츠 2023. 11. 9. 09:30

당신의 취향을 사로잡는 토종 OTT 왓챠의 마케팅

비대면 활동이 거의 정상화가 되어가면서 OTT 시장뿐만 아니라 각종 테크 기업들이 제3의 길을 모색하고 있는 요즘입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넷플릭스의 주가 곤두박질을 통해서 화제가 되었듯이 팬데믹 동안 가장 크게 성장한 OTT 기업들이, 그만큼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요즘인데요. OTT 시장의 경우 이제 많은 제작사들이 직접 OTT 서비스를 구축하고 경쟁에 뛰어들면서, 여러 요인이 겹쳐 더욱 엔데믹의 타격을 많이 입었습니다. 마찬가지로 국내 OTT 시장에도 이제 많은 대기업이 들어섰는데요. 쿠팡의 쿠팡플레이, CJ ENM의 티빙, SKT의 웨이브 등등 넷플릭스, 애플 TV, 디즈니플러스 등과 같은 해외 OTT는 차치하고서라도 국내 시장만 해도 포화상태에 이르렀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레드오션이라는 부정적 전망..

마케팅 인사이트/브랜딩 2022. 7. 14. 09:30

엔데믹에 대처하는 플랫폼의 자세

01. 천만 영화의 재등장: OTT의 미래는? 가 천만 관객을 앞두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놀랍게도 개봉 20일 만에 현재 900만 관객을 달성했는데요. (6/6 기준) 팬데믹 이후로 첫 천만 영화에 대한 기대감이 대단한 상황이에요. 코로나가 유행하는 동안 가장 큰 특수를 누린 산업 중 하나는 OTT 업계 일텐데요. 엔데믹 이후로 사람들의 외부 활동이 많아지면서, 영화관에 가는 사람이 대폭 증대되고 있습니다. OTT 서비스 사업은 코로나 기간 동안 정말 큰 성장을 만들어냈습니다. 방역수칙으로 인해 영화관 이용이나 서비스가 제한되면서 사람들이 대체재로 삼게 된 것은 OTT 서비스를 통한 콘텐츠 시청이라는 완전히 새로운 습관이었죠. 얼마 전 소개해드린 것처럼 구독경제의 시작을 OTT가 견인했다고 보아도 무방할..

마케팅 인사이트/APP 2022. 6. 13. 10:30

방콕생활 뭐 볼까?: 넷플릭스 vs 왓챠

방콕생활 뭐 볼까?: 넷플릭스 vs 왓챠 'Over the top'이라는 이름의 OTT서비스는 개방된 인터넷망을 통해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뜻한다. 모바일 기기를 통한 동영상 시청이 일상화되며 세계적으로 OTT서비스는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그 규모는 빠르게 증가해 2022년 이후 가입형 OTT서비스의 이용자 수가 유료방송서비스 이용자 수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된다. 국내에서도 OTT 시장은 연평균 26.4%의 성장률을 보이며 급속도로 성장하며 넷플릭스, 티빙, 웨이브, 왓챠 등 다양한 국내 OTT 플랫폼이 경쟁을 벌이고 있다. 코로나로 방콕 생활이 이어지며 그중에서도 OTT서비스의 최강자인 넷플릭스와 독점 콘텐츠로 성장 중인 왓챠를 비교하고 각각의 콘텐츠를 추천하는 시간을 가져볼까 한다. N..

마케팅 인사이트/콘텐츠 2021. 4. 23. 17:02

[요즘애들 요즘유행]요즘애들의 집콕 콘텐츠 OTT 서비스에 주목하다

늘어가는 넷플릭스와 왓챠 이용자 수, OTT 서비스에 주목하다 해당 콘텐츠는 대학생 작가 '이수민'님께서 작성하였습니다.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코로나 19)의 여파로 인해 집에 머무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넷플릭스, 왓챠와 같은 OTT 서비스의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친구들을 만나면 '어제 1박 2일 봤어?' 하며 TV 프로그램에 대한 얘기보다는 OTT서비스 콘텐츠에 대한 주제를 말하며 서로 콘텐츠를 추천하며 후기를 공유하는 것이 일상이 되었다. 코로나19가 계속되는 상황 속에서 거리두기로 인해 혼자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이 OTT 서비스를 이용하며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다. 글로벌 OTT 서비스의 대표 플랫폼인 넷플릭스는 1억8000만명의 가입자 수(2020.4 기준)를 넘었고 국내..

마케팅 인사이트 2021. 2. 16. 15:0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마케팅연구소, 소마코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