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연구소, 소마코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마케팅연구소, 소마코

메뉴 리스트

  • Homepage
  • Portfolio
  • 회사 소개서
  • Contact
  • Category (1623)
    • 마케팅 인사이트 (1450)
      • AI (30)
      • 콘텐츠 (311)
      • 캠페인 (233)
      • 브랜딩 (293)
      • 그로스 (16)
      • 바이럴 (67)
      • APP (74)
    • 소마코 오리지널 (159)
      • 시리즈 (139)
      • 인터뷰 (1)
      • 트렌드 리포트 (2)

검색 레이어

마케팅연구소, 소마코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UX

  • 출시 한 달 반 만에 2만명 개통… ‘우리WON모바일’이 호평 받는 이유

    2025.07.18 by 짱수안

  • “실제 대화 같아” vs “끄고 싶어” UX 관점에서 본 카카오톡 ‘입력 중’ 기능 실험

    2025.05.30 by 짱수안

  • UX 관점에서 본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앱… 독립 앱 출시한 까닭은?

    2025.05.02 by JC_Lee

  • “항공권·숙소 예약 전 잠깐!” 숙박앱 속 다크패턴 디자인

    2024.07.25 by J_JG

  • 사용자가 접하는 모든 환경, UX와 UI의 평가 기준!

    2016.05.04 by 소마코

출시 한 달 반 만에 2만명 개통… ‘우리WON모바일’이 호평 받는 이유

더피프티원에게 들은 우리WON모바일 UI·UX 설계 비결지난 4월 18일, 우리은행이 알뜰폰 서비스인 ‘우리WON모바일’을 론칭했다. 최근 여러 은행이 단순 금융 서비스를 넘어 소비자 생활에 밀착된 플랫폼으로 확장을 시도하는 만큼, 우리은행 또한 필수 서비스 중 하나로 일컫는 통신 사업을 통해 보다 큰 영역에서 소비자를 확보하기 위한 시도다. 실제 우리WON모바일은 출시 한 달 반 만에 2만명이 넘는 사용자를 확보할 만큼 큰 인기를 얻고 있는데, 그 배경에는 데이터 중심 구성의 실속 있는 요금제와 우리은행 금융 거래 고객을 대상으로 한 혜택 제공 등 기존 금융 서비스와 연계된 마케팅 등이 꼽히지만, 한 가지 더 지대한 영향을 끼친 게 있다면 그건 서비스 정보 탐색과 가입과 개통 등 서비스 전반의 편의를 ..

마케팅 인사이트/브랜딩 2025. 7. 18. 08:00

“실제 대화 같아” vs “끄고 싶어” UX 관점에서 본 카카오톡 ‘입력 중’ 기능 실험

대화 몰입과 피로감 사이에서 줄타기하는 카카오톡의 타이핑 인디케이터 실험 최근 카카오가 카카오톡에서 테스트 중인 기능으로 인해 전국의 카카오톡 사용자들이 떠들썩합니다. 바로 사용자의 메시지 입력 상태를 표시하는 ‘입력 중’ 표시 기능인데요. 얼핏 보면 간단해 보이는 기능이지만, 카카오톡 사용자들 사이에선 찬반 여론이 뚜렷하게 갈리고 있습니다. 기능 추가에 찬성하는 쪽은 더 빠르고 명확하며, 맥락을 파악한 소통에 도움이 되는 기능이라 호평하지만, 반대로 자신의 텍스트 입력 상태 및 과정을 공유하기 싫은 것은 물론, 감시당하고 있는 듯한 불안함을 호소하는 사용자도 있는데요.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이번 기능 실험이 단순한 기능 추가를 넘어, 새로운 기능과 변화를 사용자들마다 다르게 받아들이는 걸 보여주는 동..

마케팅 인사이트/APP 2025. 5. 30. 08:25

UX 관점에서 본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앱… 독립 앱 출시한 까닭은?

지난달 네이버가 공식적으로 독립된 쇼핑 앱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를 출시했습니다. 그런데 네이버 앱에서도 여전히 쇼핑 탭(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탭)을 통해 쇼핑을 할 수 있는 데다, 독립 앱으로 출시됐음에도 기존 쇼핑 탭과 상당히 유사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선 또 하나의 앱을 켜야 하는 불필요한 진입 장벽이 추가된 것처럼 여겨지기도 하는데요. 하지만 UI·UX 디자인 업계에선 이번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출시가 단순 독립 앱 출시에서 그치지 않고, 네이버가 목표로 하는 쇼핑 검색 사용자 경험(UX)의 변화 증거라는 분석을 내보이고 있습니다. 과연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앱에는 어떤 전략이 담겼을까요? 이번엔 네이버 쇼핑 탭이 새로운 쇼핑앱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으로 독립하면서 바뀐 디..

마케팅 인사이트/APP 2025. 5. 2. 10:29

“항공권·숙소 예약 전 잠깐!” 숙박앱 속 다크패턴 디자인

ㅇㅇ씨는 이번 여름에 어디 안가요?  최근 여름휴가 시즌이 다가오면서 사내 점심시간이 되면 다들 휴가 계획 이야기에 한창이다. 그리고 이렇게 휴가 계획 이야기가 나오면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이야기가 있다. 바로 항공권 티켓 예매와 숙소 예약을 진행하는 숙박앱이다. 최근 숙박앱의 규모가 점점 커지고 있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관광산업에서 온라인 유통채널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5년 72%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또한 이렇게 숙박앱 업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서비스가 고도화되자, 여러 업계가 그러하듯 숙박앱 시장에서도 UI·UX 디자인이 주요 화두로 떠오르고, 많은 앱이 UI·UX 디자인을 최적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UI·UX 디자인 고도화가 이뤄지면서 새롭게 사용자들의 지갑과 계좌를 위협하는 신흥 위협..

마케팅 인사이트/그로스 2024. 7. 25. 11:30

사용자가 접하는 모든 환경, UX와 UI의 평가 기준!

UX와 UI란? UX란 User Experience 즉, 사용자가 특정한 시스템, 제품, 서비스, 콘텐츠 등을 이용하면서 느끼는 총체적 경험을 말합니다. 그리고 사용자 경험에서의 핵심은 느낌, 태도, 행동을 설계한다는 데에 있습니다. UI란 User Interface 즉, 스마트 폰, 컴퓨터 프로그램, 네비게이션 등의 시스템에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 혹은 기법을 뜻합니다. TV이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리모콘을 사용하는 것을 일반적인 예로 들 수 있습니다.   UX와 UI의 차이 UX와 UI 구별의 경우, UX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 시 어떤 감정을 가지고 있는지를 표현해 주는 감성적인 부분입니다. UX를 통하여 추구하는 것은 느낌, 실용성, 용이성, 효율성..

마케팅 인사이트 2016. 5. 4. 01:36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마케팅연구소, 소마코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