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연구소, 소마코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마케팅연구소, 소마코

메뉴 리스트

  • Homepage
  • Portfolio
  • 회사 소개서
  • Contact
  • Category (1514) N
    • 마케팅 인사이트 (1362) N
      • AI (17) N
      • 콘텐츠 (294) N
      • 캠페인 (212) N
      • 브랜딩 (279)
      • 그로스 (7)
      • 바이럴 (63)
      • APP (69)
    • 소마코 오리지널 (143) N
      • 시리즈 (134) N
      • 인터뷰 (1)
      • 트렌드 리포트 (2)

검색 레이어

마케팅연구소, 소마코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카페

  • 패션을 '입는' 시대에서 '맛보는' 시대로, 진화하는 브랜드 카페

    2025.03.20 by J_JG

  • 배민 창업자가 만든 믹스커피 카페 '뉴믹스커피' 마케팅 포인트

    2024.03.29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명품 브랜드가 카페를 만드는 이유☕

    2023.05.10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Back to 1970’s! 유스컬처의 공간

    2023.02.21 by 알 수 없는 사용자

패션을 '입는' 시대에서 '맛보는' 시대로, 진화하는 브랜드 카페

입는 것을 넘어 먹고 마시는 것으로 확장하는 브랜드의 감각적인 실험이 흥미롭습니다. 단순한 카페를 넘어, 브랜드의 철학과 정체성을 오감으로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특히, 각 도시의 분위기와 문화에 맞춰 디자인된 브랜드 카페들은 색다른 재미를 선사합니다.  글로벌 패션 브랜드 A.P.C, 메종 키츠네, 구찌 등이 선도한 브랜드 카페 시장에 최근 새롭게 등장하며 화제를 모으는 공간들을 소개할게요.  1️⃣ 클래식한 우아함을 담은 랄프 로렌(Ralph Lauren)의 감성을 고스란히 담은 ‘랄프스 커피(Ralph’s Coffee)’는 클래식한 우아함과 세련된 분위기가 매력적인 공간입니다. 도쿄에 여행가시는 분들을 필수로 들리는 코스이기도 했는데요.  서울 청담에 문을 열었습니다. 브랜드의 ..

마케팅 인사이트/브랜딩 2025. 3. 20. 10:01

배민 창업자가 만든 믹스커피 카페 '뉴믹스커피' 마케팅 포인트

커피는 우리나라 전통 음료가 아닙니다. 그런데 마치 우리나라 전통 음료처럼 느껴지는 커피가 있죠. 바로 믹스커피입니다. 커피, 설탕, 프림이 적절히 섞여 봉지 형태로 담겨있는 믹스커피는 1970년에 인스턴트커피로 최초 등장해 오랫동안 ‘자판기 커피’로도 불리며 우리와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였어요.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아메리카노, 드립 커피 같은 서양 문화권 커피가 우리나라로 들어오기 시작하면서 믹스커피는 보기 힘들어졌어요. 500원 동전을 넣으면 자판기에서 커피를 뽑을 수 있는 것도 옛날이야기가 되었죠. 1️⃣가장 한국적인 커피 브랜드 : 뉴믹스커피 배달의 민족 창업자인 김봉진 전 의장이 설립한 스타트업 ‘그란데클립’에서 론칭한 카페 브랜드 '뉴믹스커피'.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다 아는 달달하고 친숙한..

마케팅 인사이트/브랜딩 2024. 3. 29. 09:30

명품 브랜드가 카페를 만드는 이유☕

명품 브랜드가 카페를 만드는 이유☕ ▼ ▼ 도쿄에는패션 브랜드 폴로 랄프로렌이 운영하는 카페 '랄프스 커피'가 있어요. 랄프스 커피는 다양한 패션 브랜드 매장이 많은 지역인 오모테산도에 있는데요. 자전거, 꽃 소품들 그리고 초록색과 흰색의 조화가 어우러진 굿즈들이 딱 랄프로렌 스럽더라고요. 특히 랄프스 로고가 그려진 머그컵 등 소장욕구를 불러일으키는 굿즈로 판매하고 있었고요. 한국에서도 명품 브랜드가 식음료 매장을 선보이는 경우가 늘고 있어요. 루이비통은 압구정에서 5월 4일에서 6월 15일까지 런던 미슐랭 2스타 레스토랑 '이코이'와 함께 팝업레스토랑을 오픈했는데요. 루이비통 고유의 감성을 경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이전에 두 차례 열었던 팝업레스토랑은 모두 5분 만에 사전 예약이 마감되었대요. 롯데백..

마케팅 인사이트/브랜딩 2023. 5. 10. 09:30

Back to 1970’s! 유스컬처의 공간

Back to 1970’s! 유스컬처의 공간 ▼  ▼     자유주의와 개인주의, 독자적인 개성의 아름다움 등을 강조하던 1970년대 미국에는 강렬한 색감 대비와 레트로 풍 디자인을 조명한 할리우드 무드가 유행이었어요. 이러한 비주얼 트렌드는 젊음과 자유를 상징했고, 일종의 유스 컬처를 크게 일궈냈어요. 특히 피지컬 에듀케이션에서 운영하는 멀티 엔터테인먼트 공간인 핍스홈(Phyps Home)은 1970년대의 시대 정신을 잘 구현한 사례인데요. 핍스홈은 어떻게 현대의 MZ세대에게 매력적으로 어필할 수 있었을까요?       신용산역 부근에 위치한 핍스홈은 피지컬에듀케이션만의 세계관을 담아 구현한 공간이에요. 이층 집으로 보이는 외관은 안정감과 평온함을 북돋아 줍니다. 온화한 이미지와 색감으로 노스탤지어한 ..

마케팅 인사이트 2023. 2. 21. 09:3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마케팅연구소, 소마코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